본문 바로가기
보험관련 사례 및 정보

간암 선별검사 생존율 높인다

by MK손해사정 오팀장 2021. 1. 22.

안녕하세요 운영지기 오팀장입니다.

오늘은 간암 선별검사를

미리 받은 경우 암을 조기에 발견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수 있다는

기사 내용 포스팅 하겠습니다.

"간암 선별검사 받았더니

'다른 장기 전이 1/5로 줄었다."

'증상이 없을 때 미리 받는 간암 선별검사가

암을 조기에 발견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간암 선별검사가 암을 조기에 발견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정숙향 교수팀은

간암 선별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 치료가

간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사실을

입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선별검사는 증상이 없을 때

정기적으로 암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다.

간암은 뚜렷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간암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선별검사다.

연구팀은 "대부분의 간암 환자들이

선별검사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병을 키운 후에야 간암 진단을 받게 된다"고

지적했다.

간암 예후(치료 결과)가 좋지 않은 암으로 꼽힌다.

연구팀은 간암의 예후가 나쁜 주요 원인으로

조기 진단율이 낮다는 점을 꼽았다.

완치가 어려운 말기가 돼서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미 간 기능이 저하된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치료 결과가 좋지 않은 것이다.

정 교수팀은

"국내 간암 환자에서 선별검사에 대한

인식.현황을 파악하고,

선별검사를 통해 간암을 조기에 진단해

장기 생존율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간암을 처음 진단받은 환자 31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간암을 진단받기 전 2년동안 6개월 간격으로

두 번 이상 선별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는

그룹(127명)과, 선별검사를 받아본 경험 없이

일반 건강검진이나 다른 질환으로

검사하는 과정에서 간암을 진단받은

그룹(192명)으로 나눴다.

전체 환자 중 간암을 진단받기 이전에

제대로 선별검사를 받았던 비율은 39.8%에

불과했다.

선별검사를 받지 않은 이유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선별검사를 받지 않았던 환자 중

49.5%는 검사가 필요한지 조차 몰랐다고

답변했다.

39.6%는 필요성은 알고 있었지만

시간이 없거나 비용이 부담된다는 이유로

검사를 받지 않았다고 답했다.

간암의 조기진단을 위한 선별검사로는

초음파 검사를 반드시 받아야 하는데,

실제 간암 진단 환자 중 56%는

사전에 초음파 검사의 필요성을 몰랐으며,

간수치 검사(51.1%)나

알파태아단백검사(33.2%)등

피검사만으로 간암 선별검사가

충분하다고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을 처음 진단받을 당시

두 그룹의 암 진행정도의 차이를 비교했더니

선별검사를 받은 환자들의 경우에는

암 종양 크기가 평균 3cm로 나타났다.

반면 선별검사를 받지 않은

환자들은 평균 7cm였다.

연구팀은

"간암은 종양의 크기에 따라

예후가 많이 좌우되는 질환이다.

주기적인 간암 선별검사를 통해

암 덩어리의 크기가 작을 때 발견하는 것이

치료 성공 유무에 가장 큰 조건이라는 점에서

선별검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전이 정도도 달라졌다.

혈관 침범(4.7%) 대27.1%이나

간 외 장기에 전이(2.4% 대 13.0%)되는

정도를 비교했을 때에도

선별검사를 받은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훨씬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장은선 교수는

"간암은 다른 암에 비해 위험인자가

확실한 편이기 때문에,

b형 간염 보유자 및 환자, c형간염,

간경변증 등 위험 인자를 갖고 있다면

6개월 간격으로 복부초음파 및

간암표지자 검사를 통한 정기적인

선별검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숙향 교수는

"우리나라 간암 환자의 경우

발생원인의 80%가 만성 간질환인 만큼

간염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다.

만성 간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들은

간경변, 간암으로 가기 전에

정기적인 선별검사를 통한 조기발견이 중요하고,

이러한 고위험군 선별을 통해

검진 기회를 넓히는 것이

국가적 의료재정 지출을

낮추기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암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인

'대한암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