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암21 신경내분비종양 악성암 진단비 보상 사례 안녕하세요 운영지기 오팀장입니다. 오늘은 46세 여성분이 건강검진차 시행한 대장내시경에서 신경내분비종양 진단 받은 분의 악성암 진단비 보상 사례 포스팅 하겠습니다. 신경내분비종양은 직장유암종, 카시노이드종양 Carcinoid 불리웁니다. 신경내분비종양이 보험회사와의 분쟁이 발생하는 이유는 종양의 성질, 크기, 침윤정도, 병리학회 가이드라인에 의해 의사들의 진단 성향에 따라 진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단이 달라질 수 있다라고 하는것은 의사들의 진단 기준에 따라 직장의 악성신생물 (C20) 또는 직장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D37.5) 진단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모호한 진단기준 때문에 피보험자들이 병원 진단서상 C20 코드를 진단 받았다 할지라.. 2021. 11. 4. 난소경계성종양 (D39.11) 악성암 진단비 보상 사례 안녕하세요 운영지기 오팀장입니다. 오늘은 난소 경계성종양 (난소의 경계성 점액성 종양), 진단코드 D39.11 진단 받으신분의 악성암 진단비 보상 사례 포스팅 하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난소의 경계형 점액성종양(D39.11)은 조직검사상 borderlind mucinous tumor 으로 확인이 됩니다. 진단코드를 보면 아시겠지만 악성코드인 C코드가 아니라 D39.11 코드인 종양입니다. D39 코드는 보험에서 말하는 경계성종양 진단비에 해당하는 코드로 일반적으로 악성암진단비의 10~20%가 지급이 되는 종양입니다. 하지만 D39 코드를 부여받았다 하더라도 2008년 이전 암보험을 가입한 분들이라면 악성암 진단비 지급 여부를 검토를 해봐야 합니다. 그 이유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2021. 11. 2. 대장점막내암 악성암 진단비 보상 사례 안녕하세요 운영지기 오팀장입니다. 오늘은 대장내시경 중 발견된 용종 조직검사 후 '결장의 상피내 암종' [대장점막내암](D01.0) 진단 받은 분의 악성암 진단비 보상 사례 포스팅 하겠습니다. 결장의 상피내 암종[대장점막내암]은 악성종양이 조직의 근육층까지 침범하지 않고, 상피내에 머물러 있는 종양으로 대장점막내암으로 불리웁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악성종양이 점막고유층(lamina propria) 또는 점막근층(muscular is mucosa) 까지는 침범했으나, 점막하층(submucosa) 까지는 침범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결장내 상피내 암종이 보험회사와 분쟁이 일어나는 이유는 의사의 진단에 따라 D01.0 코드 또는 C18 코드로 진단이 다르게 내려질 수 있기 .. 2021. 9. 13. 양성뇌종양 보험금 보상 여부 안녕하세요 운영지기 오팀장입니다. 오늘은 양성뇌종양이나 수술위치가 어려워 악성코드를 받은 경우 암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 내용 포스팅 하겠습니다. ---------------------------------------- Q. 지인이 양성 뇌종양입니다. 위치가 수술이 어려워 코드는 악성코드를 받았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양성 뇌종양 보험금을 받는지? 아니면 암보험금을 받는지? 아니면 모두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양성뇌종양의 경우 양성뇌종양 보험금과 일반암보험금 2가지 중 하나만 보상 받게 됩니다. 원척적으로 양성뇌종양은 조직 자체로는 악성이 아니므로 일반암보험금의 지급 대상은 아닙니다. 종양엔은 가장 위험도가 낮고 많이 발생하는 양성과, 암으로 불리는 악.. 2021. 2. 2. 이전 1 2 3 4 ··· 6 다음